심리 이야기

자폐스펙트럼 장애 / 아스퍼거에 대하여..

심상로
2019.03.07 18:12 2,008 0

본문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524_1335.png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상현장에서 일해오면서 뇌에 대한 관심과 신경학적 발달에 문제점을 가진 아이들과의 임상경험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아스퍼거장애는 현장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양상 가운데 하나입니다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655_7083.png

아주 심한 증상을 가지고 있어서 누가

보아도 자폐증이라고 할 수 있는 경우도 보아왔지만

뭔지 모를 부모로서의 의문을 갖게 하는 아이에 대해서

자폐라는 잣대를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려고 하면 쉽게 이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을 예전에는 고기능자폐, 아스퍼거 장애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하였습니다.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683_8123.jpg 

그렇다면 자폐증 혹은 아스퍼거 증후군의 첫 징조는 무엇일까요?

대부분 자폐증은 영아기에 시작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언어발달의 지체나 이상으로 처음 걱정을 하게 되는 경우로는

사회적 관계에서의 이상 상황으로부터의 과한 분노폭발 등이

자폐증 아동의 가족으로부터 처음 인식되어지는 행동적 문제입니다.

나중에 아스퍼거증후군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의사소통 기술만큼 사회적 행동적 발달에 대해서도 걱정을 했었다고 합니다.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722_6053.jpg 

자폐증은 초기의 진단이 중요합니다.


보통의 부모들은 자녀의 발달에 대한 문제

를 평가하는데 상당시 능숙합니다.

하지만 그 진단은 그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폐의 진단은

인지적 능력의 평가

언어적 기술의 평가

자폐증후군이 나타나는지 평가하기

심리적인 요인들

자폐의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집단이 필요합니다.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806_6246.png 

영국의 경우는

심리학자, 언어치료사, 정신의학자, 소아과의사, 사회사업가, 교육자, 작업치료사간호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집단이 진단푱가에 포함되어지기도 합니다.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826_4958.jpg 

자페 진단시 중요한 감별진단

자폐증에 대한 진단기준은 잘 확립이 되어 있으나 여러 다른 상테에서도의사소통과 사회적 장애 혹은 지체가 동반되고 강박행동, 의식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인 dsm-5에서는 자폐와 아스퍼거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예전에는 이 둘을 구분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비전형적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 정신지체, 학습장애, 발달적 언어장애, 선택적 함묵증, 신경학적인 이상(레트증후군, 붕괴성 장애,등) 유전적 이상, 심한 시각청각 손상, 특정학습장애(운동과 주의장애), 심리사회적 박탈 등에서도 자폐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에 정확한 진단과 감별은 제대로된 자폐 치료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4ba4cc112573b4da072b4fed7e38fc13_1551949881_6757.jpg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